안녕하세요^^
따박따박 앵브로입니다.
지금쯤이면 고향에 도착들 하셨나요?
저는 요즘 불면증, 위염, 편도선염까지 몸이 왔다리 갔다리 하네요. 오늘도 잠을 거의 두시간 정도 잔듯해요.ㅠㅠ
그래도 명절이니 저녁엔 친구들과 가볍게 한잔 약속이 잡혀 있네요. 메뉴선정에 카톡에 불이 붙었네요.ㅋㅋㅋ
아무래도 추석엔 컨디션이 좋지 않아도 술을 드시는 저같은 분들이 제법 있을듯 하네요.ㅜ.ㅜ
컨디션이 별로라면 당연 금주가 최우선!
오늘은 감기약의 올바른 복용에 대해 소개해 드릴게요.
■ 음주 후 감기약 먹어도 될까?
- 몸살감기나 열감기약에 들어 있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은 과다하게 복용시 간 손상을 불러올 수 있다. 증상이 심해서 감기약을 복용하게 되더라도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없는 약으로 복용하는 것이 좋다. 되도록이면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종합감기약 VS 증상별 감기약
- 우선적으로 감기약은 증상별로 선택해서 먹는 것이 좋다. 코가 막히면 코감기약, 가래가 심하다면 거담제, 기침이 심하면 기침약, 몸살이 심하다면 몸살약을 복용하는게 좋다. 하지만 여러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날 때는 종합감기약을 먹는 것이 좋다. 증상별 약을 복용하는 이유는 불필요한 성분의 복용을 막기 위함이다.
■ 감기약 먹고 운전해도 될까?
- 추석연휴이다 보니 아무래도 도로위에서 시간을 보내시는 분들이 많을 듯하다. 감기약을 먹으로 몸이 나른하고 졸음이 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코감기약을 복용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이다. 콧물과 코막힘을 억제하는 항히스타민제가 졸음을 유발하기 때문에 장거리 운전을 앞둔 사람은 항히스타민제가 들어있지 않거나 카페인 성분이 들어간 약을 추천한다. 밤/낮 구분해서 복용하는 감기약도 있으니 참고하자.
■ 감기약과 다른 약을 같이 먹어도 될까?
- 평소 만성질환을 앓고 있거나 다른 불편한 부위가 있어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엔 반드시 의사와 약사와 상담시 얘기를 해야한다. 같은 성분이 중복되어 과다 복용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뭐든 과하면 위험한 법이다.
■ 감기약 꼭 먹어야 하나?
- 일반적으로 감기는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인체의 면역력으로 인해 2주 정도면 자연치유가 된다. 또한, 대부분이 바이러스가 원인이므로 치료약은 없다. 우리가 먹는 감기약은 치료가 목적이 아니라 증상완화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보면 된다. 그렇다고 해서 증상이 심한데도 감기약이 필요 없다는 것은 아니니 오해가 없었으면 한다.
특히나 음주후 감기약 복용은 앞에서도 얘기했지만, 조심해야 한다.
사실 우리나라는 감기가 걸려서 병원을 가면 기본 4종류가 넘는 약을 처방해주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심한곳은 7~8개 까지도 약을 처방하더군요. 외국의 의사들은 감기약에 대한 우리나라 의사들의 처방을 보고 상당히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더라구요. 증상이 심할 때는 감기약을 꼭 먹어야 겠지만,
감기약이 감기를 치료하지는 못한다.
꼭 기억하세요.^^
공감(♥)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